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apervision
- 플렉스
- XAML
- 3D
- ActionScript
- Papervision3D
- Flash
- 어도비
- API
- 아폴로케이션
- Microsoft
- 도서
- framework
- 물리엔진
- 책
- 플래시
- Flex
- 마이크로소프트
- Genome2D
- Silverlight
- Air
- starling
- adobe
- 3.0
- 실버라이트
- stage3d
- 액션스크립트
- 워렌 버핏
- 주식
- 아폴로
- Today
- Total
목록ActionScript (395)
주엘리아 블로그
FisixEngine의 기본 설정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1. FisixEngine 인스턴스 생성 2. 반응모드 설정(NONE: 비물리 모드, PHYSICAL: 물리 모드) 3. 중력설정 4. 렌더링 여부 설정(기본: false) 5. 렌더링 할 그래픽스 오브젝트 설정(graphics에 draw를 합니다) 6. 엔진 시동위의 순서를 코드로 작성하면.. ====================================================== var myEngine:FisixEngine = new FisixEngine(); myEngine.setReactionMode(ReactionModes.PHYSICAL); myEngine.setGravity(0, 1 * stage.frameRate); myEng..
Fisix 사이트의 'Getting Started' 내용을 재구성 한 것입니다.Fisix 엔진은 다운로드 받으셨죠? 받지 않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먼저 참조하세요. http://airdev.tistory.com/20 ================================================================== 1. 플렉스 빌더 메뉴 중 File - New - ActionScript Project 를 선택합니다. 프로젝트명은 TEST로 하죠..다음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2. TEST 프로젝트가 만들어 졌습니다. 이제 라이브러리를 등록하겠습니다. 3. 메뉴에서 Project - Properties 를 선택합니다. 4. 아래 이미지의 번호 순서대로 선택합니다. 5. 아래 이미지의 번호..
최근들어 물리, 3D엔진들이 일반 개발자가 쓰기 편하게 잘 정리가 되어서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중 하나인 Fisix 엔진을 살펴보겠습니다..(정확한 단어뜻을 본적은 없지만 Physics가 아닐까 생각됩니다..)아직 알파라서 라이브러리가 많지 않습니다..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조금씩 조금씩 배워갈 수 있으니까요..참고로 Fisix 엔진은 AS3.0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아래는 Fisix를 위한 준비입니다..엔진 다운로드 - http://www.fisixengine.com/downloads.asp원하는 디렉토리에 압축을 풀면 준비 끝!!☞ API 폴더 : Fisix 엔진의 API입니다..정리가 잘 되있네요.. ☞ Bin 폴더 : 라이브러리가 swc파일로 들어 있습니다..
AS2.0때처럼 16진수로 간단하게 색상을 변환하는 코드입니다.. =================================================== var aaa:Sprite = new Sprite();//sprite 생성 aaa.graphics.beginFill(0xFFFFFF); aaa.graphics.drawRect(0, 0, 100, 100);//사각형을 그립니다 aaa.graphics.endFill(); this.addChild(aaa);var col:ColorTransform = new ColorTransform();//ColorTransform 생성 col.color = 0xFF0000;//color 저장aaa.transform.colorTransform = col;//ColorT..
MXML에서 이펙트나 바인딩을 하면 실제로 AS에서 어떻게 코딩이 되는지 궁금할때 있죠.. 그럴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특별제공 : 싱크롱사마]1. 플렉스 빌더 메뉴 중 Project - Properties 를 선택하세요..(또는 Alt + P + P)2. 아래 이미지처럼 옵션을 입력합니다.. 옵션 : -locale en_US -keep-generated-actionscript=true 3. 컴파일(F11 또는 Ctrl + F11) 하면 아래와 같이 폴더가 생성되면서 AS 파일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아래 한줄이면 OK!! trace(this.loaderInfo.url);
아래와 같이 한줄만 써주면 확인 가능합니다..trace(Security.sandboxType, Capabilities.playerType);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플래시에서 컴파일 : localTrusted, External로컬에서 실행 : localWithFile, StandAlone서버에서 실행 : remote, ActiveX
AIR 베타2가 발표된지도 좀 됐네요..그동안 이것저것 테스트 해보며 참 좋다는 느낌이 팍 왔습니다..플렉스 뿐만 아니라 플래시에서도 개발이 가능해 졌고,System Tray(맥은 Dock)에 notifyIcon도 생성되며,시스템 클립보드 사용, 윈도우 z-index 조정 가능, Drag and Drop, 암호화된 로컬 저장소, ..또한 플래시의 기본 오른쪽 버튼 메뉴가 사라졌죠..특히나 SQLite 지원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 지향 어플리케이션에 막강한 힘이 생겼습니다..AS3의 강력한 API와 결합해 빠르고 강력한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AIR..정식버젼이 기대됩니다!! ^____^)b